분석철학2 대륙 철학에 대해서 대륙 철학 대륙 철학은 유럽 대륙을 기준으로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 만들어진 철학의 전통으로, 같은 시기에 영미권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분석 철학에 반대되는 분류이다. 이런 용어는 20세기 중반에 영어권 철학자들이 먼저 사용했는데, 그들은 이 용어가 분석 철학에 포함하지 않은 전통과 사상가들을 거론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대륙철학은 아래와 같은 학파 및 주의를 포함한다. - 독일 관념론 - 현상학 - 실존주의 - 해석학 - 구조주의 - 후기 구조주의 - 해체주의 - 페미니즘 철학 - 정신분석학 -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 이론 - 헤겔철학 - 현대 마르크스주 서구 마르크스주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는 아메리카 합중국 중심의 하는 서쪽 세계와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중심의 하는 동.. 2024. 3. 14. 현대 철학에 대해서 현대 철학 현대 철학은 20세기 중반 이후에 드러난 서양의 철학 및 사상으로 대략 영미권의 분석 철학과 독일 및 프랑스권의 대륙 철학으로 나누어진다. 영미권에서는 논리 실증주의를 드럴 분석 철학이 발달했는데, 이것은 인공 언어 철학과 일상 언어 철학으로 구분한다. 독일에서는 후설의 현상학과 딜타이의 해석학 이 둘을 시간론 위에서 종합하려고 도전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해석학, 기초적 존재론이 다양한 학문 분야에 효과를 줬다. 프랑스 현대 철학에서는 독일 발상의 현상학을 이어받는 과정에서 실존주의가 번성하여 잘 되어갔다. 그 후, 소쉬르를 앞세워 구조주의가 인기를 끌었는데 그에 반해 실존주의는 퇴색되어 갔다.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작용으로서 후구조주의가 좀 더 인기를 끄는 흐름이었다. 이런 흐름은 마침내 .. 2024. 3. 13. 이전 1 다음